새턴 I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턴 I은 1950년대 미국이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대응하여 개발한 대형 발사체이다. 국방부의 요구에 따라 NASA가 개발을 주도했으며, 1961년 첫 시험 비행을 시작으로 총 10번 발사되었다. 새턴 I은 아폴로 계획의 보일러플레이트 시험과 페가수스 위성 발사에 사용되었으며, 새턴 V 로켓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새턴 로켓 - 새턴 V
새턴 V는 미국의 아폴로 계획과 스카이랩 계획에 사용된 다단식 액체 추진 로켓으로, NASA에 의해 13회 발사되어 인류 최초의 달 착륙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현재 3기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새턴 로켓 - 새턴 C-8
- 1962년 우주 개발 - 존 글렌
존 글렌은 미국의 우주비행사이자 정치인으로, 1962년 최초로 지구 궤도 비행을 한 미국인이며, 해병대 조종사, 시험 조종사, NASA 우주비행사로서 활약했고, 이후 오하이오주 상원의원을 지냈으며, 77세에 두 번째 우주 비행을 한 인물이다. - 1962년 우주 개발 - 머큐리 계획
머큐리 계획은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대응하여 1958년 미국에서 시작된 최초의 유인 우주 비행 계획으로, NASA 주도하에 우주비행사 훈련, 로켓 및 우주선 개발을 통해 유인 우주비행 기술을 축적하고 제미니 및 아폴로 계획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새턴 I | |
---|---|
개요 | |
![]() | |
유형 | 중형 리프트 발사체 |
원산지 | 미국 |
제조사 | 크라이슬러 (S-I) 더글러스 (S-IV) 콘베어 (S-V) |
발사 횟수 | 10 |
성공 횟수 | 10 |
최초 발사 | 1961년 10월 27일 (SA-1) |
마지막 발사 | 1965년 7월 30일 (AS-105) |
상태 | 퇴역 |
발사 장소 | 케이프 커내버럴, LC-34 및 LC-37 |
탑재물 | 보일러 플레이트 아폴로 CM, 페가수스 |
높이 | 54.9 m |
직경 | 6.6 m |
질량 | 509,858 kg |
단 | 2단 또는 3단 (3단은 비활성 구성으로 비행) |
성능 | |
LEO (2단) | 고도: 185 km 경사: 28° 탑재량: 9,072 kg |
TLI (2단) | 탑재량: 2,223 kg |
1단 | |
이름 | S-I |
엔진 | 8 × H-1 |
추력 | 6,700 kN |
연소 시간 | ~150초 |
연료 | LOX / RP-1 |
2단 | |
이름 | S-IV |
엔진 | 6 × RL10 |
추력 | 400 kN |
비추력 | 421초 (진공) |
연소 시간 | ~482초 |
연료 | LOX / LH2 |
3단 | |
이름 | S-V (비활성 비행) |
엔진 | 2 × RL10 |
추력 | 133 kN |
연소 시간 | ~430초 |
연료 | LOX / LH2 |
2. 역사
1950년대 미국 육군은 새턴 프로젝트 연구를, 미국 공군은 SLS(Space Launching System) 연구를 시작했다. 여기서 SLS는 오늘날의 우주 발사 시스템과는 다른 로켓이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미국은 큰 충격(스푸트니크 쇼크)을 받았다.
1958년 7월 29일, NASA가 창설되어 미국 육군과 공군의 관련 연구는 모두 NASA로 이관되었다.
1961년 10월 27일, 새턴 I이 최초로 발사되었다. 총 10회 발사되어 모두 성공했다. 새턴 I은 무게 510톤의 2단 액체연료 로켓으로, 1단에는 등유/액체산소 추력 670톤, 2단에는 액체수소/액체산소 추력 40톤급 엔진을 사용했다. 이를 통해 9.1톤의 인공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었다.
이후 개량형인 새턴 IB(새턴 원비)가 1966년 2월 26일에 최초로 발사되었고, 9회 발사하여 모두 성공했다. 1967년 11월 9일에는 새턴 V가 최초로 발사되어 13회 모두 성공적으로 임무를 수행했다.
2. 1. 기원
1950년대 중후반, 미국 육군은 새턴 로켓 개발을, 미국 공군은 우주 발사 시스템 (SLS) 연구를 시작했다. 그러나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하면서 미국은 "스푸트니크 쇼크"를 경험했다.[2] 1958년 7월 29일, NASA가 창설되면서 미국 육군과 공군의 로켓 개발 계획은 NASA로 이관되었다.[2]베르너 폰 브라운이 이끄는 팀은 국방부의 요구에 맞춰, 주피터 미사일 탱크를 중심으로 레드스톤 미사일 탱크 8개를 묶은 1단 로켓을 제안했다.[5] 이 로켓은 "슈퍼 주피터"로 불렸으며, 이후 "새턴"으로 명명되었다.[5]
국방부의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았다.[2]
요구 사항 |
---|
9,000kg에서 18,000kg의 위성을 지구 궤도에 투입 |
2,700kg에서 5,400kg의 위성을 탈출 속도에 도달 |
폰 브라운 팀은 1957년 4월부터 이 요구에 맞는 로켓을 연구했다. 초기에는 F-1 엔진이나 E-1 엔진을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H-1 엔진 8개를 묶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이 방식은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
1958년 8월 15일, 국방고등연구계획국(ARPA)은 새턴 계획을 승인하고, 1959년 말까지 로켓을 발사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1959년 2월, 이 계획의 명칭은 공식적으로 "새턴"으로 변경되었다.
2. 2. 개발 시작
1958년 8월, 국방고등연구계획국(ARPA)은 1959년 말까지 실물 크기의 고정식 동적 발사 시험을 목표로 하는 새턴 로켓 개발 계획을 승인했다.[6] 같은 해 9월 11일, 로켓다인 사와 H-1 엔진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6]베르너 폰 브라운은 새턴 로켓을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호라이즌의 일환인 유인 달 탐사 계획에도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지구 궤도에 90000kg (약 90718.40kg)의 달 우주선을 만들기 위해 15기의 새턴 로켓을 발사할 것을 제안했다.[6]
2. 3. NASA 이관
1958년 7월 29일, 여러 대형 로켓 개발 계획들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해 NASA가 설립되었다. 당시 육군은 새턴, 공군은 우주 발사 시스템(Space Launching System, SLS)이라는 각기 다른 계획을 추진하고 있었다. 이 두 계획 외에도 NASA 기술자들은 독자적으로 노바 로켓 개발을 계획하고 있었다.[7]이러한 여러 계획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 위원회가 구성되었고, 베르너 폰 브라운 박사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가장 적합한 방안을 검토하고 보고하도록 요청받았다. 1958년 7월 18일에 제출된 보고서는 미국의 우주 계획이 그동안 소홀히 다루어졌으며, 소련의 우주 계획이 미국보다 앞서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12월에는 육군, 해군, 공군 모든 그룹이 모여 각자의 계획안을 보고했다. 이듬해 1월 6일, NASA는 그중에서도 폰 브라운의 안을 강력하게 추천했다.
새턴 개발 계획은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 보였다. 그러나 1959년 6월 9일, 국방부 조사 기술국 장관 허버트 요크는 갑작스럽게 새턴 계획 중단을 발표했다. 그는 "기존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개량하는 것이 더 짧은 기간 내에 요구되는 능력을 가진 로켓을 개발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육군 탄도 미사일국 장관 존 B. 메달리스는 "공군이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새턴과는 완전히 다른 신형 로켓(타이탄 C)을 제안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라고 증언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중단에 대해 국방부와 국방고등연구계획국의 멤버들은 자체적으로 메모를 제출하며 반발했다.
1959년 9월 16일부터 18일까지 회의가 열렸고, 요크와 드라이든은 새턴의 미래에 대해 재검토하고 타이탄 C와 노바의 역할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회의 결과, 요크는 중단을 연기하고 단기간 자금 지원을 지속하는 데 동의했다. 동시에 NASA는 육군 탄도 미사일국 멤버들을 인계받아 국방부의 지원 없이 개발을 계속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회의는 다음 주에도 계속되었고, 그 결과 새턴 개발은 폰 브라운 팀이 주도하고, 전체 조직은 NASA 지휘하에 두는 것으로 새로운 합의가 이루어졌다. 1960년 3월 15일, 육군 탄도 미사일국은 마셜 우주 비행 센터로 명칭을 변경하고 NASA의 하부 조직으로 편입되었다.
2. 4. 상단 로켓 선정
1959년 7월,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ARPA)은 상단 로켓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제시했다. 2단 로켓에는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추력 9톤(2만 파운드)의 더 강력한 엔진을 사용하고, 3단 로켓에는 센타우르 로켓에 사용되는 더 고성능화된 것을 사용하라는 것이었다.이에 대해 메달리스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우리는 재정에 관련된 네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고, 그것이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2단을 제작함에 있어, 우리는 그 로켓의 직경을 타이탄 1단과 같은 120인치로 맞춰야 했다. 그런데 로켓의 탱크 등 주요 구조물을 조립할 때, 그 작업을 하기 위한 공장에 드는 설비 비용은, 많은 경우, 로켓의 직경에 따라 좌우된다. 길이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우리가 지적한 네 가지 문제점은, 1) 연료 탱크를 기체 내부에서 어떻게 분할할 것인가, 2) 내부 구조를 어떻게 보강할 것인가, 3) 대추력 로켓 엔진을 기체 하부에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 4) 직경이 다른 로켓을 어떻게 접합시킬 것인가, 라는 점이었지만, 이 점들은 기술적으로 그다지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보다 더 문제는 직경을 변경하는 것이었고, 그것이 설비・비용・시간에 대한 가장 주요한 문제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 후 갑자기, 2단에 관한 작업을 일시 중지하라는 지시가 나왔다. 청천벽력이었다. 이 계획 전체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재검토하고, 게다가 2단의 직경을 160인치로 확대하라는 것이다. 이 지시에는 요크 박사가 관여했던 것으로 보이며, 그는 먼저 '타이탄 1단과 같은 120인치로 맞추라'는 지시를 내놓고, 그것과는 전혀 모순되는, 다이노소어 로켓의 장래적인 수요를 강조했다고 한다. 그는 또한, 새턴의 디자인을 공군이 계획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지 질문까지 제출해 왔다. 우리는 충격을 받고, 멍했지만, 이런 일은 다반사였다.
1959년 12월, NASA, 공군,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 육군 탄도 미사일국, 그리고 국방성에서 파견된 멤버들은 실버스틴 위원회(Silverstein Committee)의 관리 아래 놓였다. 폰 브라운 박사는 "상단 로켓에는 액체 산소·액체 수소를 연료로 하는 로켓을 사용해야 한다"라고 주장했고, 위원회는 처음에는 불안해했지만, 이내 브라운 박사에게 설득당했다. 이 변경으로 NASA의 계획은 군의 간섭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졌다.
위원회는 로켓 형태에 대해 몇 가지 다른 안을 제시하고, 연구자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각 안을 담당하게 했다.
구분 | 내용 | 비고 |
---|---|---|
A 그룹 | 이전의 새턴 디자인과 동일 | 가장 리스크가 낮음 |
A-1 | 타이탄 로켓을 1단, 센타우르 로켓을 2단에 사용 | |
A-2 | 1단을 타이탄 외의 로켓 클러스터 방식으로 사용 | |
B-2 | A-2에서 1단에 4기의 H-1 로켓 엔진을 사용 | |
C 그룹 | 상단 로켓 엔진에 액체 산소·액체 수소 로켓을 사용 | 세 가지 안 |
C-1 | S-I을 1단, 2단에는 추력 6.8 - 9.0톤(15,000 - 20,000 파운드) 엔진 4기를 탑재한 S-IV, 3단에는 센타우르 엔진 2기를 탑재한 S-V 로켓 사용 | |
C-2 | 1단에 추력 68 - 90톤(150,000 - 200,000 파운드) 엔진 2기를 탑재한 신형 로켓 S-III 사용, 2단에 S-IV 또는 S-V 사용 | |
C-3 | 1단에 S-III과 같은 엔진 4기를 탑재한 S-II 로켓 사용, 2단에는 S-III 또는 S-IV 사용 |
C 안은 A 및 B 안에 비해 상호 교환이 가능하고 다양한 탑재량에 대한 요구에 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우수하다고 평가되었다.
2. 5. 새턴 I 탄생
1959년 7월,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ARPA)은 상단 로켓에 대한 새로운 요구 사항을 제시했다. 2단 로켓에는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를 사용하는 더 강력한 엔진을 사용하고, 3단 로켓에는 센타우르 로켓에 사용되는 고성능 엔진을 사용하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변경에 대해 메달리스는 로켓 직경 변경이 설비, 비용,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했다.갑작스러운 작업 중지 지시와 함께 2단 로켓의 직경을 160인치로 늘리는 것을 포함한 새로운 비용 및 시간 추정치를 요청받았다. 이는 요크 박사가 다이나소어의 요구 사항이 120인치 직경과 호환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후 NASA, 공군, ARPA, 육군 탄도 미사일국, 국방성 관계자들이 실버스타인 위원회를 구성했다. 폰 브라운은 상단 로켓 연료로 액체 수소를 사용할 것을 주장했고, 위원회는 이를 받아들였다. 이로써 NASA의 로켓 개발 계획은 군의 간섭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되었다.
위원회는 여러 가지 로켓 구성안을 제시했는데, 그중 C형 로켓은 상단 로켓 엔진에 액체 산소-액체 수소 로켓을 사용하는 방식이었다. C-1 모델은 기존 S-I을 1단으로, 새로운 S-IV를 2단으로, 센타우르 엔진 2개를 탑재한 S-V를 3단으로 사용했다. C-2 모델은 새로운 S-III를 1단으로, S-IV와 S-V를 2, 3단으로 사용했다. C-3 모델은 S-II를 1단으로, S-III와 S-IV를 2, 3단으로 사용했다. C형 로켓은 상호 교환 가능성과 다양한 탑재량 요구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S-IV는 위원회 보고서에 언급되지 않았지만, 개발 일정을 맞추기 위해 센타우르 엔진 6개를 탑재한 "신형" S-IV 로켓이 2단으로 사용되기로 결정되었다. 이는 원안의 출력을 향상시킨 엔진 4개를 탑재한 것과 성능 면에서 거의 동일했다. 로켓은 작은 엔진을 다수 탑재하는 것보다 큰 엔진을 적게 탑재하는 쪽이 더 효율적이고 신뢰성이 높기 때문에, 이후 더 고성능의 J-2 엔진 한 기만 탑재한 S-IVB 로켓이 개발되었다. S-IVB는 아폴로 우주선 발사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3. 운용
1961년 10월 27일, 새턴 I 로켓의 첫 번째 시험 비행(SA-1)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4] 이 비행은 더미 상단과 부분적으로 연료가 채워진 1단계로 이루어졌으며, 발사대 폭발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완벽한 시험 비행을 수행했다. 이후 17개월 동안 더미 상단을 탑재한 3번의 비행이 이어졌으며, 이 중 두 번은 프로젝트 하이워터의 일환으로 S-IV에 물을 채워 고고도에서 폭파시켜 얼음 구름을 형성하는 실험을 했다.
1964년 1월 5차 비행(SA-5)에서는 처음으로 실제 S-IV 2단을 탑재하고 궤도 진입에 성공했다. 이 발사는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소련에 뒤쳐져 있던 미국의 로켓 기술력을 앞서게 할 발사로 규정했다.[4] 새턴 I은 아폴로 계획에서 아폴로 사령선/기계선의 보일러플레이트(모형)와 발사 탈출 시스템을 시험하고, 페가수스 미소유성체 관측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데 사용되었다.
발사 번호 | 계획명 | 발사 일시 | 특기 사항 |
---|---|---|---|
SA-1 | SA-1 | 1961년 10월 27일 | 새턴 I 첫 발사. 고도 136.5km, 거리 398km의 탄도 비행. 무게 52,500kg |
SA-2 | SA-2 | 1962년 4월 25일 | 고도 145km의 탄도 비행. 무게 86,000kg. 프로젝트 하이워터 실시. |
SA-3 | SA-3 | 1962년 11월 16일 | 고도 167km의 탄도 비행. 무게 86,000kg. 프로젝트 하이워터 실시. |
SA-4 | SA-4 | 1963년 3월 28일 | 모의 S-IV를 탑재하고 비행. 고도 129km, 거리 400km |
SA-5 | SA-5 | 1964년 1월 29일 | 제2단 S-IV를 탑재하고 첫 비행. 원지점 760km, 근지점 264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7,550kg. 대기권 재진입은 1966년 4월 30일 |
SA-6 | AS-101 | 1964년 5월 28일 | 모의 사령선을 탑재하고 첫 비행. 원지점 204km, 근지점 179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7,650kg. 대기권 재진입은 1964년 6월 1일 |
SA-7 | AS-102 | 1964년 9월 18일 | 모의 사령선을 탑재하고 두 번째 비행. 원지점 203km, 근지점 178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6,700kg. 대기권 재진입은 1964년 9월 22일 |
SA-9 | AS-103 | 1965년 2월 16일 | 페가수스 미세 유성체 위성을 탑재하고 첫 비행. 원지점 523km, 근지점 430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450kg. 페가수스의 대기권 재진입은 1978년 9월 17일, 사령선의 대기권 재진입은 1985년 7월 10일 |
SA-8 | AS-104 | 1965년 5월 25일 | 페가수스 미세 유성체 위성을 탑재하고 두 번째 비행. 원지점 594km, 근지점 467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450kg. 페가수스의 대기권 재진입은 1979년 11월 3일, 사령선의 대기권 재진입은 1989년 7월 8일 |
SA-10 | AS-105 | 1965년 7월 30일 | 페가수스 미세 유성체 위성을 탑재하고 세 번째 비행. 원지점 567km, 근지점 535km의 지구 궤도. 위성 무게 1,450kg. 페가수스의 대기권 재진입은 1969년 8월 4일, 사령선의 대기권 재진입은 1975년 11월 22일 |
4. 기술 사양
새턴 I은 3단 로켓으로, 각 단은 서로 다른 엔진과 연료를 사용한다. 1단(S-I)은 H-1 엔진 8기를 사용하며, 액체 산소와 케로신을 연료로 사용한다. 2단(S-IV)은 RL-10 엔진 6기를 사용하며,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 3단(S-V)은 RL-10 엔진 2기를 사용하며, 2단과 마찬가지로 액체 산소와 액체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
각 단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단 | 1단 (S-I) | 2단 (S-IV) | 3단 (S-V) |
---|---|---|---|
전체 길이 (m) | 24.48 | 12.19 | 9.14 |
직경 (m) | 6.52 | 5.49 | 3.05 |
총 중량 (kg) | 432,681 | 50,576 | 15,600 |
공허 중량 (kg) | 45,267 | 5,217 | 1,996 |
엔진 | H-1×8기 | RL-10×6기 | RL-10×2기 |
추력 (kN) | 7,582 | 400 | 133 |
비추력 (초) | 288 | 410 | 425 |
비추력 (kN·s/kg) | 2.82 | 4.02 | 4.17 |
연소 시간 (초) | 150 | 482 | 430 |
산화제 / 연료 | 액체 산소 / 케로신 | 액체 산소 / 액체 수소 | 액체 산소 / 액체 수소 |
S-I 1단과 S-IV 2단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각각의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초기 새턴 I 블록 I 발사체(SA-1~SA-4)는 1단 상단에 장착된 계측기로 유도되었으며, 레드스톤 미사일에 사용된 ST-90 안정화 플랫폼을 포함했다.[11] 블록 II 발사체(SA-5~SA-10)는 2단 앞에 계측 장치 (IU)를 탑재하여 유도되었다.
4. 1. S-I 1단
S-I은 H-1 엔진 8기를 탑재하고 있다. 본체는 주피터 로켓의 탱크 주변을 8개의 레드스톤용 탱크가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의 주피터 탱크에는 액체 산소가, 외주 레드스톤 탱크 중 흰색으로 칠해진 것에는 액체 산소가, 검은색으로 칠해진 것에는 케로신이 탑재된다. 엔진 8기 중 중앙의 4기는 고정되어 있으며, 주변의 4기는 짐벌 기구를 가지고 있어 로켓의 궤도를 제어한다. 또한, 하부에는 자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날개도 8개 탑재되어 있다.
4. 2. S-IV 2단
S-IV는 RL10 엔진 6기를 사용했으며, 각 엔진은 짐벌에 장착되어 로켓의 방향을 조종할 수 있었다. 액체 수소와 액체 산소 탱크는 공통 격벽을 사용하여 무게를 약 10톤 줄였다.[1]항목 | 내용 |
---|---|
전체 높이 | 12.19m |
직경 | 5.49m |
엔진 | RL10 (6기) |
추력 | 400 kN |
연료 | 액체 수소 |
산화제 | 액체 산소 |
연소 시간 | 약 410초 |
도달 고도 | 450 km 이상 |
4. 3. 새턴 I 자동 제어 장치
새턴 I 블록 I 발사체(SA-1~SA-4)는 S-I 1단 상단에 장착된 캐니스터에 실린 계측기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포드 계측 회사에서 제작되어 레드스톤 미사일에 사용된 ST-90 안정화 플랫폼이 포함되었다.[11] 이 처음 4대의 발사체는 탄도 궤적을 따랐으며, 궤도에 진입하지 않았고, 더미 상단은 단일 추진 단계에서 분리되지 않았다.블록 II 발사체(SA-5~SA-10)는 2개의 추진 단계를 포함했으며, 궤도에 진입했다. SA-5부터 유도 계측기는 S-IV 단 바로 앞에 있는 계측 장치 (IU)에 탑재되었다. IU의 첫 번째 버전은 지름이 약 391.16cm이고 높이가 약 147.32cm였으며, 마셜 우주 비행 센터에서 설계 및 제작되었다. 유도, 원격 측정, 추적 및 전원 구성 요소는 중심 허브에 바퀴살처럼 부착된 4개의 가압된 원통형 컨테이너에 들어 있었다.[12] 이 버전은 SA-5, SA-6 및 SA-7에서 사용되었다.
마셜 우주 비행 센터(MSFC)는 SA-8, SA-9 및 SA-10에서 IU의 버전 2를 사용했다. 버전 2는 버전 1과 지름은 같지만 높이는 약 86.36cm에 불과했다. 가압 컨테이너 대신, 구성 요소는 원통형 벽 내부에 걸려 무게를 줄였다.[13]
블록 II의 유도 컴퓨터는 IBM ASC-15였다. IU에 탑재된 다른 계측기에는 발사체를 유도하는 활성 구성 요소와 나중 비행에 사용하기 위해 지상으로 데이터를 원격 측정하는 탑승자 구성 요소가 포함되었다. ST-90 안정화 플랫폼은 SA-5와 SA-6의 1단계에 대한 활성 IMU였다. ST-124는 SA-5의 탑승자였으며 SA-6의 2단계 및 후속 임무에 활성 상태였다. IU에는 발사 전에 관성 플랫폼의 정렬을 허용하는 광학 창이 있었다.
5. 파생형 및 영향
새턴 I은 아폴로 계획을 위한 더 강력한 발사체인 새턴 IB와 새턴 V 개발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새턴 I 개발 경험은 미국의 우주 개발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후 다양한 발사체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1961년 10월 27일 새턴 I이 최초로 발사되었고, 총 10회 발사되어 모두 성공했다. 이후 1966년 2월 26일에는 새턴 IB가, 1967년 11월 9일에는 새턴 V가 최초로 발사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Encyclopedia Astronautica - Saturn I
http://www.astronaut[...]
2010-12-07
[2]
문서
[3]
Youtube
Newsreel report of JFK with SA-1 (video)
https://www.youtube.[...]
[4]
Youtube
JFK Speech at Brooks AFB, 21Nov63 (video, on the last full day of his life)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Saturn I: made from 1 Jupiter and 8 Redstones... right?
https://gwsbooks.blo[...]
2020-01-23
[6]
논문
https://history.nasa[...]
[7]
문서
[8]
논문
https://history.nasa[...]
[9]
웹사이트
Gemini-Saturn IB
http://www.astronaut[...]
[10]
서적
Gemini Applications For Lunar Reconnaissance - McDonnell Report NO. A634
[11]
논문
https://history.nasa[...]
[12]
문서
The Apollo "A"/Saturn C-1 Launch Vehicle System
[13]
문서
Saturn I Summary
[14]
웹사이트
Saturn Illustrated Chronology - Part 2
https://history.nasa[...]
1965-05-15
[15]
웹사이트
Space Launch Report - Saturn Vehicle History
http://spacelaunchre[...]
[16]
뉴스
C/Net News - NASA is giving away an Apollo-era Saturn rocket
https://www.cnet.com[...]
2019-07-19
[17]
뉴스
Apollo-era Saturn rocket destroyed under NASA's watch
https://spaceexplore[...]
202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